내가 뜨개를 해본 것은 딱 세 번이다. 이십 대에 처음 남자친구의 목도리를 온 가을을 바쳐 뜨고 코가 듬성듬성 빠지고 우글거리는 남루한 그걸 리본 묶어 선물했다. 그다음 아이가 어릴 때 그 애 목도리를 떴는데 유튜브를 수십 번 무한 반복하며 고행한 결과 제법 꼼꼼한 결과물이 나왔었다. 그리고 얼마 전, 온녀의 뜨개 가방 만들기 수업에서 굵은 실과 코바늘로 토트백을 만들었다. 내가 만든 거라고 막 인스타에 자랑했지만 사실 거의 온녀쌤이 다 해서 준거나 다름없었다.

그는 매우 친절한 강사였다. 그리고 매우 냉철했다. 그는 자꾸만 줄어들거나 늘어나거나 코가 빠지는 내 편물에서 실을 가차 없이 도로 풀어내면서도 연신 ‘괜찮아요~ 잘했어요~’ 했다. 내가 잘한 걸까 못한 걸까 어리둥절하고 있으면 시원시원하고 정확한 솜씨로 다시 한번 내게 시범을 보여주었다. 그날 나 같은 수강생이 넷이나 있었는데, 그는 다섯 시간 동안 모두에게 참을성 있는 가르침을 주었다. 덕분에 우리는 모두 우리 실력에는 어림도 없는 귀여운 뜨개 가방을 완성해 집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. 그때 온녀의 퀭한 얼굴에 피어오르던 뿌듯한 미소를 나는 보았다.

<이야기가 있는 상점>에는 여러 사람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상점을 꾸리기 위해 준비 중이다. 그 중 온녀의 <뜨ㅓ> 상점이 있다. 뜨개인 온녀가 하나씩 만들어가는 애정 어린 뜨개 작품과 그에 대한 숨겨진 이야기가 담길 것이라고 한다. 서로서로의 첫 번째 인터뷰를 온녀에게 청했다. 나의 불굴의 뜨개 선생님이었던 그가 <뜨ㅓ>를 준비하고 있는 마음은 어떤 것일까 궁금했다.

어느 화요일 저녁, 그가 퇴근 후에 인터뷰를 위해 우리 집에 방문했다. 현관문을 들어서며 ‘실례합니다’라고 말하고는 현관 가까이에 가방과 코트를 차곡히 벗어 두는 걸 보고 늘 단정하고 정확한 온녀 답다고 생각했다. 거실의 동그란 테이블에 우리는 마주 앉았다.

Q 온녀님, 인터뷰로 다시 만나게 되어 너무 반갑습니다. <이야기가 있는 상점>이 곧 문을 여는데요, 저는 이 뉴스레터가 정말 하나의 커다란 상점같이 느껴져요. 집집마다 주인이 있고 문을 똑똑 두드리면 반갑게 맞아주는 그런 상점이요. 세 분의 주인 중 가장 먼저 온녀님을 만나게 되었어요. 먼저 <뜨ㅓ> 상점과 온녀님을 소개해 주세요.

A <뜨ㅓ>는 뜨개에 흥미를 가진 사람들에게 뜨개에 대한 저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같이 뜨개 하자고 권하는 상점이에요. 하나의 작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나 관련된 일화를 글과 사진으로 소개할 생각이에요. <뜨ㅓ> 라는 상점 이름은 자, 떠봐! 하는 게 아니라 조심스럽고 다정하게 떠어어어어.. 하는 음성을 살려 지었어요. 저는 더 많은 이들에게 뜨개를 소개하고 권유하고 싶어요. 제 sns 정보도 공유해서 같이 뜨개하고 싶다고 연락해주시는 분들이 있다면 즐겁게 만나볼 생각이에요.

Q 더 많은 사람들이 뜨개를 하면 좋겠다고 생각하시는 이유는 뭔가요?

A 저는 아무것도 생각하고 싶지 않고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할 때 항상 뜨개를 해요. 그렇게 혼자 뜨는 즐거움도 충분하지만 같이 뜨는 즐거움 또한 색다르다는 것을 요즘 알게 되었어요. 더 많은 분들이 이런 뜨개의 즐거움을 알게 되셨으면 좋겠어요.

Q 온녀님은 뜨개를 시작하신 계기가 있으신가요?

A 고등학교 때 기술 가정 시간이 있었어요. 저는 그때까지 뜨개나 바느질을 해본 적이 없는데요, 수업 시간에 뜨개를 접해보고는 그게 너무 재미있고 잘 맞는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. 저한테 작은 것을 정교하게 다루는 재주가 조금 있다는 것도 깨달았죠. 밤새 뜨고 또 떠서 저만 편물이 엄청나게 커졌어요. (웃음) 그렇게 흥미가 생겼고 그 뒤로 가끔 유튜브를 보고 배우고 응용하고 도안도 변형하면서 만들어보고, 꾸준히 재미있게 뜨고 있어요.

Q 작품은 얼마나 만드시나요? 회사를 다니니까 시간이 많지 않을 것 같은데요.

A 저는 그래서 주로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는 작은 물건, 특히 가방을 위주로 뜨는데요, 한 달에 많게는 일고여덟 개를 완성해요. 완성품은 대부분 지인들에게 선물하고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