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년이 시작되고 보름이 지났다. 새해를 맞이하는 첫번째 루틴은 뭐니뭐니해도 새로운 다이어리를 사는 일,인 분들이 많을텐데 난 다이어리를 사기 위해 꼭 새해가 필요하진 않았다. 금세 질리고 싫증이 나는 바람에 언제든 새로운 다이어리를 사서 새로운 다짐을 했다. 이번에는 꼭 끝까지 써야지, 하고 한 자 한 자 오바하여 정성스럽게 쓰다가 오히려 지쳐버려서 그 다짐이 지켜진 적이 거의 없다. 그렇게 앞부분, 또는 듬성듬성 채워진 다이어리와 노트들이 수십 권. 그동안 내가 도대체 뭘 그렇게 사제껴왔는지를 낱낱히 들춰내보자는 이 레터의 본분에 맡게 작업실에 가져다 둔 ‘다이어리 캐비넷’을 오픈했다.
일부러 모으려고 모은 것은 아니고, 버릴 수 없어서 갖고있다 보니 캐비넷 두 칸을 차지한 다이어리들.
고등학교 때 썼던 노트(거의 20년 전..)
별표까지 쳐놓고 좋아했던 시.
사제낌은 언제부터?
저 수많은 다어이리 중에 50%이상 쓴 것은 2~3권정도. 나란 사람.. 중도하차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. 게다가 이렇게나 과감하다니. 이렇게 많이 남았는데 또 사? 또 사! 꾸준한 기록에는 재능이 없지만 꾸준하게 사는데에는 재능이 있었던 나. 쓰다만 다이어리들에는 꾸준히 돈 아껴쓰자는 다짐과 다음 달 카드 값과 그렇게 사제낀 나를 혼내거나 책망하는 문장들로 가득했다. 계속 다이어리와 노트를 사제끼면서 정신차려, 언제까지 이렇게 살거니, 아 다른 거 또 사고싶다의 무한반복. 다이어리에는 ‘사제끼는 나’의 정체성이 아주 오래전부터 구축되어왔다는 것이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었다.
‘정신차리라’는 말이 수도없이 나옴.
대략 10년전에 쓴 것 같은데 아직도 국민카드, 하나카드 잘 쓰는 중…
아예 지마켓이 위시리스트에 있었네..? (이준기 배우를 지마켓보다 좋아했다니….)
헛웃음이 나왔다. 놀랍도록 나는 변하지 않았다.
다이어리의 또다른 역할
어차피 지키지도 못할 거 다 의미없다고 새해가 되어도 사소한 계획 하나 세우지 않던 때가 있었다. 미래를 기대하며 해보고 싶었던 것이 하나도 없던 날들. 난 무엇때문에 그렇게 무기력 했을까. 어떤 날은 집에 돌아와 책꽂이나 다이어리 캐비넷 앞에서 한참을 서성였다. 부서져 흩어지는 나를 붙잡아 세우기 위한 답을 찾을 수 있을까해서. 실로 본능적인 움직임이었다. 그래서 그랬다는 걸 나중에야 깨달았으니까. 책과 다이어리 속의 ‘문장들’은 친구들과의 수다와 술 한 잔, 애인과의 다정한 스킨십 등과는 다른 결의 위로를 가져다 주었다.